국내 골프 산업이 위축되는 가운데, 스크린 골프만이 유일하게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와 고물가로 전통 골프 수요가 줄어드는 반면, 실속형 레저를 찾는 소비자들에게 스크린 골프가 주목받고 있는 것입니다.
전통 골프 산업, 2년 새 15% 이상 매출 감소
매일경제와 오픈업의 공동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한동안 호황이던 국내 골프 산업이 최근 빠르게 위축되고 있습니다.
- 골프장 연 매출:
- 2022년: 9조 9천억 원
- 2023년: 9조 5천억 원
- 2024년: 8조 5천억 원
- 골프 연습장 매출: 1조 6710억 원 (전년 대비 감소)
- 골프 용품점 매출: 3134억 원 (전년 대비 감소)
이 같은 하락은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소비 위축과 필드 골프의 높은 비용 구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스크린 골프만 유일하게 성장세
반면, 스크린 골프장은 시장에서 유일하게 꾸준한 매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2022년: 6848억 원
- 2023년: 6937억 원
- 2024년: 7040억 원
→ 3년 연속 증가
이는 스크린 골프가 비용 부담이 적고, 접근성이 뛰어난 대중적인 레저로 자리 잡았기 때문입니다.
4050세대·여성 고객의 증가… 소비층 다변화
특히 4050세대의 이용률 증가가 두드러지며, 최근에는 4050 여성 고객 비중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스크린 골프가 특정 계층의 놀이를 넘어, 전 세대를 아우르는 복합 문화 콘텐츠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스크린 골프의 인기 비결
스크린 골프가 인기를 끌고 있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장감 있는 그래픽: 실제 필드에 가까운 몰입감 제공
- 간편한 앱 예약: 접근성과 사용자 경험 개선
- 저렴한 가격대: 1~2만 원대로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음
- 장비 완비: 개인 장비 없어도 이용 가능
- 음식·주류 제공 등 복합 공간화: 친구·가족과 함께 즐기는 레저 장소로 변모
이러한 장점 덕분에 과거 필드 골프의 보완재로 여겨졌던 스크린 골프는 이제 독립적인 레저 콘텐츠로 자리 잡으며, 필드 골프의 대체재로도 각광받고 있습니다.
미래를 이끄는 실속형 골프 문화
지속적인 경기 침체 속에서도 소비자들이 선택한 실속형 대안, 스크린 골프.
앞으로의 골프 산업에서 중심축 역할을 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한국도 참여해야 할까? 트럼프의 요청과 에너지 외교의 미래 (0) | 2025.03.25 |
---|---|
뉴욕 ‘블록웍스 서밋’ 행사 악용한 가상자산 사기 발생! 딥페이크+유명인 사칭까지 (1) | 2025.03.25 |
테슬라 주가 급락의 원인과 일론 머스크의 대응 전략 분석 (1) | 2025.03.24 |
연예인 세금 추징 사태 분석과 법인 소득 분리의 과세 쟁점 (0) | 2025.03.24 |
금리 인하와 대출 규제 사이에서 갈피 못 잡는 부동산 시장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