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24년 3월 24일부터 강남·서초·송파·용산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확대 지정한다고 발표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하루 전날인 3월 23일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특히 잠실·반포·이촌동 등 주요 단지에서는 ‘막판 급매’와 이른바 물밑 계약이 속출했으며, 대출 규제도 추가 발표되면서 시장은 급격히 얼어붙는 분위기입니다.
강남 4구 ‘토지거래허가구역’ 전격 재지정
서울시는 3월 24일부터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전체를 토허구역으로 재지정했습니다. 이는 투기 목적의 매입을 사전에 차단하고, 시장 과열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토허구역으로 지정되면 주거용 부동산 매매 시 해당 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실거주 목적이 아닌 거래는 원칙적으로 제한됩니다.
이로 인해 규제 전날인 3월 23일은 사실상 ‘마지막 날’로 여겨지며 단기 급매 및 서둘러 계약을 마무리하려는 움직임이 집중되었습니다.
잠실·반포·이촌동 '막판 거래'… 하루에 10건 이상 계약
서울시가 136개 부동산 중개업소를 집중 단속한 결과,
- 상당수 중개업소는 문을 닫거나 비공식 장소에서 계약
- 잠실 리센츠·엘스 단지 등에서는 하루 새 10건 이상 거래 추정
- 가격도 최고가 대비 2~3억 원 하락한 급매물 위주 거래
예시:
- 잠실엘스 전용 84㎡는 최고 30.5억 원 → 28억 원으로 하락
- 서초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용산 이촌동 한강자이 등도 급매물 등장
대출 규제도 동시 강화… 시중은행, 주담대 중단
금융당국과 주요 은행들 역시 규제에 동참하며 대출을 조이기 시작했습니다.
- 하나은행: 3월 27일부터 서울 전역 주택 구입 목적 주택담보대출 중단
- 우리은행: 3월 28일부터 강남·서초·송파·용산 대상 주담대 중단
이에 따라 계약자들은 지방은행, 외국계은행 등 대체 금융기관으로 문의 중이며, 실수요자들의 불안감도 동시에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시 현장 점검 결과 – 이상 거래 17건 포착
서울시는 3일간 현장 점검을 통해
- 총 136개 중개업소 중 수상 거래 17건 포착
- 자금 출처 불분명, 친족 간 특이 거래 정황 확인
이들 건에 대해선 정밀조사 및 금융정보 조회 요청 등 후속 조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시장 반응: 거래 위축 + 가격 조정 본격화 예상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에 대해
- 단기 투기 수요 억제
- 거래량 급감, 가격 조정 압력 가중
- 일부 단지 급매물 확대 가능성
등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 재편 가능성도 언급되며, 규제가 실제로 어느 정도 작동할지는 향후 거래 흐름에 달려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댐 주변지역 정비사업 지원금 최대 1100억 원으로 확대 (0) | 2025.03.26 |
---|---|
서울시 '청년자립토대지원사업', 개인회생 청년의 경제적 재기 돕는다 (0) | 2025.03.26 |
한국 경제, 2033년까지 연 1.9% 성장 전망…인력 부족이 더 큰 위협? (0) | 2025.03.25 |
다이소, 100엔 숍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진화 중 (0) | 2025.03.25 |
일본 고용 시장, ‘평생직장’에서 ‘이직 문화’로 변화 중 정규직 이직 역대 최고 (1)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