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5

GDP랑 GNP 차이, 헷갈리셨죠? 경제 뉴스 보다가 “GDP가 증가했다” 혹은 “한국 GNP가 얼마다”라는 말 들어보신 적 있죠?두 용어는 이름도 비슷하고 숫자도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경제 용어 대표주자입니다.오늘은 GDP와 GNP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GDP란?GDP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는한 나라의 ‘국내’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합을 의미합니다.즉, “한국 땅 안에서 만들어진 가치”를 기준으로 해요.예시:한국에 있는 외국계 기업(삼성 영국 법인 제외)이 생산한 제품 → ✅ GDP에 포함미국에 사는 한국인이 만든 소득 → ❌ GDP에는 포함 안 됨🌐 GNP란?GNP (국민총생산, Gross National Product.. 2025. 4. 9.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뭐가 더 무서운가요? “요즘 물가가 너무 올라서 무서워요.”“경기는 안 좋은데 가격은 왜 이리 떨어지지?”뉴스에서 자주 듣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이름은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한 뜻이나 차이는 잘 모를 수도 있어요.오늘은 이 두 가지 경제 개념을 비교해보고, 우리 생활엔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볼게요.💥 인플레이션이란?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계속해서 오르는 현상입니다.쉽게 말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죠.예시:작년에 3,000원이던 라면이 올해 3,500원이 됐다면? → 인플레이션!월급은 그대로인데, 커피값, 전기료, 버스요금은 다 올랐다면? → 생활비 부담 증가📌 적당한 인플레이션(연 2% 정도)은 건강한 경제의 신호로 보기도 합니다.하지만 지나치면 생필품 가격 상승, 서민 부담 증가, .. 2025. 4. 9.
기준금리란? 오르면 내 월세도 오른다고? “뉴스에서 기준금리 올랐다고 하는데... 나랑 무슨 상관이지?”라고 생각하셨다면, 이번 글이 도움이 될 거예요!사실 기준금리는 우리가 대출받을 때 이자, 적금할 때 금리, 심지어 월세와 집값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경제 지표입니다.📌 기준금리란?기준금리는 한 나라의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은행) 간 돈을 빌려주고 빌릴 때 적용하는 금리예요.한국에서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설정합니다.이 금리는 일반 시중은행의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결국 내 돈과 직결되는 금리라고 볼 수 있어요.📈 기준금리가 오르면 무슨 일이 생길까?항목 변화대출금리상승 → 이자 부담 ↑예금금리상승 → 이자 수익 ↑소비 활동감소 → 지갑 닫게 됨부동산 시장냉각 → 집값 조정 압력💸 “월세도 오른다고요?” .. 2025. 4. 9.
1000km 주행시대, LFP 초고밀도 배터리의 숨은 경쟁자들 ⚡ 배터리 밀도 전쟁의 서막전기차의 ‘주행거리 경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1000km 이상 주행 가능한 배터리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기존 삼원계(NCM·NCA) 중심의 배터리 시장에 새로운 다크호스가 등장했습니다.바로, LFP(리튬 인산철) 양극재, 그리고 그 중에서도 4세대~4.5세대 고밀도 LFP 소재입니다.이전까지는 낮은 에너지 밀도 탓에 보급형 전기차에 주로 쓰이던 LFP가, 최근엔 기술 진보를 바탕으로 고급형 모델까지 넘보는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기술 진화의 중심: 고밀도 LFP중국 업체들은 이미 밀도 2.60g/cc 이상의 4세대 LFP 양극재를 양산하기 시작했습니다.후난위넝, 푸린징궁 등은 공장 라인을 가동 중이며CATL, BYD 같은 글로벌 배터리 업체들에 납품이 진행되.. 2025.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