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 고용 시장에서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과거 '평생직장'이 당연하게 여겨지던 사회에서 이제는 정규직 간 이직이 일반적인 경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2023년 한 해 정규직에서 다른 정규직으로 이직한 인원은 99만 명, 이는 2012년 이후 역대 최고치이자, 10년 전 대비 62% 증가한 수치입니다. 닛케이신문은 이를 두고 “일본 노동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정규직 이직 99만 명, 10년 새 62% 증가
일본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2023년 통계에 따르면, 정규직 → 정규직 이직자 수는 99만 명으로 전년 대비 5% 증가했습니다.
이는 2012년 61만 명과 비교하면 무려 62% 이상 늘어난 수치로, 일본에서도 이제 이직이 흔한 경력관리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반면, 비정규직 → 정규직 이직은 32만 명 수준으로 비교적 정체 상태를 보였습니다.
주요 이직 연령대는 2534세, 3544세
이직자의 연령대를 보면 25~34세가 37만 명, 35~44세가 24만 명으로 젊은 직장인 중심의 이직 트렌드가 확인됩니다.
이 연령대는 리먼 브러더스 사태(2008년) 전후로 취업 활동을 시작한 세대로, 당시 경기 침체의 여파로 고용 불안과 처우 문제를 겪은 경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은 더 나은 처우, 임금 상승 등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일본 기업들, 이직자 유치에 적극 나선다
변화하는 노동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 기업들도 기존의 폐쇄적 채용 문화를 수정하고 있습니다.
- 경력직 채용 확대
- 연봉 인상과 성과 기반 보상 도입
- 재택근무, 시차 출퇴근제 등 유연한 근무제 확산
이는 단순한 인재 유치 목적뿐 아니라, 우수 인력의 이탈을 막기 위한 생존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직 중개 산업도 호황… 시장 규모 3배 성장
이직이 보편화되면서 관련 산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일본 내 이직 중개 업체들의 서비스 수수료 수입은 2022년 약 7조 5천억 원 규모에 달했으며, 이는 10년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 이후, 온라인 이직 플랫폼과 AI 기반 매칭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편리하게 커리어 이동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평생직장' 신화는 끝나고, 능동적 커리어 시대 도래
일본은 오랫동안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정년까지 근무하는 평생직장 문화가 뿌리 깊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변화는 명확합니다.
- 정규직 간 이직 증가
- 젊은 세대의 임금 상승 기대
- 기업의 채용 유연화
- 이직 중개 산업 성장
이 모든 요소는 일본 고용 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의미하며,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긍정적 신호로도 평가됩니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 역시 더 유연한 고용 환경과 커리어 경로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일지도 모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경제, 2033년까지 연 1.9% 성장 전망…인력 부족이 더 큰 위협? (0) | 2025.03.25 |
---|---|
다이소, 100엔 숍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진화 중 (0) | 2025.03.25 |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한국도 참여해야 할까? 트럼프의 요청과 에너지 외교의 미래 (0) | 2025.03.25 |
뉴욕 ‘블록웍스 서밋’ 행사 악용한 가상자산 사기 발생! 딥페이크+유명인 사칭까지 (1) | 2025.03.25 |
전통 골프 침체 속 스크린 골프만 성장… 실속형 레저로 부상 (0) | 2025.03.24 |